로그인 회원가입
배가본드
다른 내일기장으로 옮겨 도전한다 : 62 일째

디지털 생활` 보편화 될까( 옮긴글 )

인구비율로 본 우리나라의 인터넷 이용은 미국, 핀란드 등 구미 몇 나라와 함께 선두그룹을 형성하고 있다. 국민들의 정보화 욕구가 높고, 정부 또한 산업 전략적인 측면에서 정보기술의 개발과 그 보급에 대한 집중적인 지원 때문에 가능해 진 일이다. 읍ㆍ면 단위까지 포함한 전국 144개 지역에 광케이블을 통한 초고속 정보통신망 기반이 당초 예상보다 2년 앞당겨 완성돼, 정통부는 지난 9일 김대중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기념행사까지 치렀다. 고속도로나 공장건설같이 가시적이지 않아 국민들이 느끼는 강도는 약할지 모르지만, 이 같은 정보고속도로의 완성이 초래할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변화는 깊고 넓게 확산될 것이 틀림없다. 90년대 초반에 우리나라 국민 중에 몇 명이나 인터넷을 알았고, 정보고속도로의 개념을 이해했을까. 정보화 사회가 세계를 급격히 바꿔놓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 그 변화의 폭이 한층 높다고 하겠다. 산업화는 늦었지만 정보화는 앞서야 한다는 그간의 염원이 이제 실현을 앞두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잠재력은 무한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가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인터넷으로 상징되는 정보화 사회의 문제점들이다. 정보고속도로의 조기 완공을 기념하는 그날에도 인터넷의 부정적인 면을 알리는 뉴스가 신문사회면을 채웠다. 자살사이트를 보고 농약으로 목숨을 끊은 중학생, 인명살상가능성이 높은 폭탄사이트들, 엽기적이고 폭력적인 사이트 등이 2,000만명이 드나드는 컴퓨터모니터 앞에 열려있는 셈이다. 인터넷을 통한 언어 폭력,청소년 유해사이트의 범람, 개인정보의 유출과 범죄이용이 날로 늘어나고 있으며, 해킹에 따른 보안문제, 국경을 초월한 바이러스유포 등 인터넷의 효과적인 사용을 위협하는 문제도 더욱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인터넷의 등장 때부터 지적됐던 정보격차 또한 정보고속도로가 완성됐다고 해소되는 것은 아니다. 정통부장관은 70년대 고속도로 건설이 전국을 '일일생활권화'했던 것에 비유, 정보고속도로를 '일초생활권'이라 표현했다. 그러나 정보화를 지역의 균형적인 발전 및 수도권 과밀화 해소와 연결시키지 못한다면 그 의미는 반감될 수밖에 없다. 좋은 고속도로는 시설 못지않게 운행체계도 부작용과 사고를 줄이게 운영되어야 한다. 정보고속도로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생각한다 - 한국일보사설에서 -

댓글 작성

일기장 리스트

12 1992 사랑과 고독, 그리고... 6991 독백 98

히스토리

키쉬닷컴 일기장
일기장 메인 커뮤니티 메인 나의 정보